반응형

권혁운 아이에스동서 회장이 올해 서울에서 3번째로 비싼 값에 아파트를 매도했어요

매각 차익은 무려 70억원 수준이라네요. 어디냐구요?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64㎡(47층)인데요. 복층 펜트하우스라고 합니다.

권 회장은 지난 2017년 분양 당시 60억 5650만원(지분 본인 95%·배우자 5%)에 매입했는데요

최근 130억원에 매도하면서 5년 새 69억 4350만원의 차익을 거두게 됐어요다.

당초 분양가는 60억 5000만원으로 5년 동안 100% 이상 오른 셈이죠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성수동 고급 주택으로 유명한 갤러리아 포레 옆에 DL이앤씨(옛 대림산업)가지었어요

최고 49층 2개 동에 280가구로 전용면적91~198㎡의 대형으로만 이뤄진 고급 아파트죠

상가와 업무시설이 들어선 D타워 1개 동이 들어서 있어요

 

단지는 서울숲 한강조망에 유리한 T자형 건물 배치를 비롯해

창틀을 최소화해 뷰를 극대화하고 개성적인 외관을 살리는 아트 프레임을 도입했대요

또 저층부에는 녹지를 누리고 서울숲과 조화되는 그린발코니라네요

리히터 규모 6.0, 진도 7.0의 강진에도 안전한 내진설계를 적용하고

장기간 거주 가능한 주거 시설로 조성한 점도 호평받은 바 있답니다

 

권 회장의 매각가는 올해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물건중 TOP3에 속해요.

가장 고가에 거래된 곳은 4월 거래된 강남구 청담동 PH129 전용면적 273㎡(16층)으로 거래가격은 145억원이었어요

이어 △파르크한남 전용 268㎡(5층)가 135억원이구요.

 

반응형

정부가 미분양을 해결하기 위해 무순위 청약 거주지역 요건을 폐지했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이 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죠.

사고싶어도, 살수 있어도 거주지역요건때문에 침만 삼켰던 실수요자의 청약 기회가 확대됩니다. 

또 청약 반복 부담 완화를 위해

명단 파기시점을 최초 계약일 60일 이후에서 180일 이후로 늘렸습니다.

예비 당첨자 범위도 현행 세대수의 40% 이상에서 세대수의 500% 이상으로 대폭 확대했구요. 

이렇게 확대해놓으면 몇 차 재모집공고를 띄우는 일도 사라지겠죠?

 

실제로 서울 강북 한화포레나미아는

5번째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는 중입니다.

경기도 의왕시 인덕원자이SK뷰도 502가구 선착순 분양 중이구요.

 

근데말이죠

해당 지역 무순위 청약을 노리고 거주지를 옮긴 실수요자들은 어쩌죠

벌써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 국토부 줍줍 거주지 요건 폐지에 관한 합리적 근거에 관한 청원이 올라왔다네요.

경기도에서 줍줍으로 나온 괜찮은 아파트는 경쟁률이 터지겠네요

 

 

반응형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도권에서도 미분양 주택이 속출하고 있어요

지방에서만 느는줄 알았는데, 서울도 예외없네요

 

서울 아파트는 분양만 받으면 무조건 가격이 뛰어올라

이른바 ‘묻지마 청약’에 줄줄이 완판 행진을 이어왔는데요.

하지만 올 들어 이러한 시장 분위기는 완전 달라졌죠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를 보면 9월 미분양 주택은 13개 단지, 총 719가구입니다.

8월보다 17.8% 급증한거에요. 자치구별로 보면 용산구와 구로구에서 각각 41가구, 68가구 증가했다. 

 

9월 서울 미분양 아파트 단지는 이렇습니다

자치구/단지명/미분양 가구수
중구//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1가구
중구/세운 푸르지오 헤리시티/1가구
용산구/용산씨모어/41가구
광진구/호반써밋자양아파트/3가구
동대문구/힐스테이트 청량리메트로블/50가구
강북구/칸타빌 수유팰리스/118가구
강북구/한화포레나미아스퀘어/65가구
도봉구/창동 다우아트리체 아파트/60가구
마포구/빌리브디에이블/245가구
구로구/남구로역 동일 센타시아/69가구
금천구/신독산솔리힐뉴포레아파트/34가구
강동구/경지아리움/32가구

 

근데 살펴보면 거의 나홀로아파트가 많아요.

가구수가 엄청 작고 단지가 조그만한데들 있잖아요

근데도 가격은 엄청 비싸게 나왔네요.

할인분양도 들어가고 하는데, 요즘 금리가 높아서

잘 안팔리는 모양이에요. 에고에고

 

반응형

 

 

부동산 시장 거래가 완전 멈추다 보니 

정부에서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어제 청약제도 변화에서부터 오늘은 청약 당첨자들에게도 

대출규제를 완화하고 주택 처분기간까지 연장해 준다네요.

바뀌는 부분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릴게요

중도금 대출보증 확대

 

(현행)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HF) 중도금 대출 보증

분양가 9억 이하 주택에만 적용(2016.8, 규제지역 여부 무관)

(개선) 12억원 이하 주택까지 확대 추진

(조치계획) HUG 내규, HF 지침조속 개정

 

청약 당첨자 기존주택 처분기한 연장

 

(현행) 투기과열지구 등에서 기존주택 처분을 조건으로 청약에 당첨된 1주택자는 입주가능일 이후 6개월  기존주택 처분 필요

(개선) 처분기한을 6개월에서 2으로 연장

* 10.27일 금일 기준 처분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기존 의무자에게도 소급 적용

 

규제지역 추가 해제 검토

(현행) 투기과열지구 39, 조정대상지역 60

(조치계획) 11월 중 주거정책심의위원회 개최

 

대출규제 완화

 

▪ 무주택자 LTV 50%로 완화

(현행) LTV 규제 보유주택․규제지역․주택가격별 차등적용

 

* 무주택자 및 1주택자(처분조건부) :

(규제지역) 70% (규제지역) 20 ~ 50%
다주택자 : (규제지역) 60% (규제지역) 0%

(개선) 규제지역 내 무주택자‧1주택자(기존주택 처분조건부)에 대해 LTV 주택가격과 무관하게 50%단일화(다주택자는 현행유지)

 

▪ 15억 초과 아파트에도 주담대 허용

 (현행) 투기투기과열지구 내 15억원 초과 APT 주담대 금지

 (개선) 투기ㆍ투기과열지구 내 무주택자ㆍ1주택자(기존 주택 처분조건부) 대상 15억원 초과 APT 주담대 허용(LTV 50% 적용)

 (조치계획)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세부 방안조속히 마련하고, 「은행업감독규정」 개정 등을 거쳐 내년초 시행을 준비

 
반응형

 

국토교통부가 '민영주택 청약제도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규제지역 중·소형 아파트에서 추첨제를 확대하는 게 핵심이죠

청약 가점이 낮은 청년층 당첨 확률이 높아지게 됐습니다.

현재 청약제도는?

현재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 일반공급 물량의 경우

투기과열지구에선 당첨자 100%, 조정대상지역에선 75%가점제로 선정하고 있어요

청약 가점은 부양가족·무주택기간·청약통장 가입기간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가점제 청약은 청년층이 불리할 수밖에 없죠

 

바뀐청약제도는?

그래서! 청년층 수요가 많은 중·소형 주택은 규제지역이라도 추첨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전용 60㎡ 이하는 일반공급 물량 기준 당첨자 중 60%,

60~85㎡는 30%를 추첨으로 당첨자를 정합니다.

중소형 주택에서 추첨제 물량이 늘어나는 만큼 

전용 85㎡ 초과 주택가점제 물량을 확대합니다.

 

현재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전용 85㎡ 초과 일반분양 주택은

가점제 비율이 각각 50%, 30%지만 앞으론 80%로 높아집니다.

추첨제 물량 확대로 가점이 높은 중·장년층 당첨 확률이 줄어드는 걸 감안해서죠. 

 

생애최초, 신혼부부 특공 물량 줄어들어

생애최초·신혼부부 등 청년 관련 특별공급 물량은 소폭 줄이기로 했다네요. 

특별공급 물량을 얼마나 축소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어요.

 

새롭게 바뀐 내용은?

국토부는 또 미혼자를 위한 청년 특별공급을 신설합니다.

또한 근로 기간이 긴 청년을 공공분양에서 우대하고

부모 자산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청약 기회를 제약하는 방안도 추진한다네요.

이번 청약 개편안은 이르면 올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청약중도금 대출과 처분기간 연장도 바꼈으니 한번 살펴보세요

2022.10.27 - [시장 동향 따라가기] - 9억이상 아파트 청약 당첨자들 중도금 대출 가능!(+주택처분기간 연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