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을 이해하는 것은 반려견이 행복한 삶을 살게 하는 데 핵심이다. 영국 왕립 동물학대 방지 협화 반려동물 부서의 수장 샘 게인즈 박사는 "우리가 보고 듣는 많은 문제는 견주들이 반려견을 더 잘 이해했더라면 반생 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아무 조사도 없이 충동적으로 조그마한 생명체를 집에 들이곤 한다. 그 생명체에 관해 전혀 혹은 거의 모르면서 말이다. 이렇게 되면 사람들이 반려견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하기 힘들어지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우리 주위에는 잘못된 정보들 또한 흘러 넘친다. 특히 사람들이 알고 있는 오래된 정보들은 더욱 그렇다. 

반려견마다 필요한 것이 다르다.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개는 개별적인 존재다. 어떤 개들은 사회성이 발달해 다른 개나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새로운 사람이나 개를 낯설어하지 않는 개들에겐 누군가를 만날 기회를 자주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낯을 가리고 소심한 개들은 매일 모르는 사람이나 개를 만나야 한다면 힘들어할 것이다. 견주는 자신의 반려견이 무엇을 원하는지 인지하고 적절히 제공해야 한다.

개마다의 필요를 파악할 때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 반려견이 부정적으로 느끼는 경험을 ㅗ치소화해야 한다. 즉 개가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그 상황을 피하거나 개가 그 상황을 좋아하도록 기들이거나 수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는 특정 개가 어떤 상황에서 즐거워하는지 아는 것이다. 물건 물어오기 놀이를 좋아하거나 수영을 좋아할 수도 있다. 민첩성 수업을 좋아하거나 숲 속 산책을 좋아할 수도 있다. 반려견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좋아하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은 전적으로 견주에게 달렸다.

인간과 동물 간 유대감은 중요하다. 사람들은 개를 입양하거나 분양을 받으면서 아름답게 오래 지속되는 우정을 꿈꾼다. 함께 산책하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지내는 상상을 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반려견이 최고의 친구라고 생각하더라도 사람과 개의 밪ㄴ려 관계는 깨지기 쉽다. 분명한 사실은 많은 이들이 부푼 기대를 안고 반려견을 기르기 시작함에도 상황이 아주 좋지 않다는 점이다. 반려인 중 18~39퍼센트는 반려견을 키우기 전 아무런 조사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거주 환경이 반려견을 기르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혹은 반려인의 건강이 나빠져서 더 이상 반려견을 기르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려견과의 관계가 깨지지 않도록 할 수만 있다면 반려견과 우리 모두에게 행복한 일일 것이다.

반려인 모두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반려견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고 때로는 잘못된 방법으로 노력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찌 됐든 반려견이 행복했으면 하고 바랄 것이다. 우리는 반려견이 행복한 표정을 지을 때 기분이 좋고, 반려견이 신이 나서 방방 뛰는 모습만 봐도 함께 행복해진다. 반려인은 보호자로서 반려견의 모든 것에 대한 책임이 있다.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는 강조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강아지를 처음 입양할 때 좋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강아지의 사회성에 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한다. 개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생후 3주부터 12~14주 사이다. 정확히 언제 끝난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이 시기는 사회성 발달에도 민감한 시기다. 특히 이때 강아지의 뇌는 주변 사회적 환경을 수용하면서 발달한다. 강아지들은 이 기간에 접한 것들을 다음에도 익숙하게 여긴다. 뇌 발달에도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뇌가 아직 유연해서 새로운 가극에 연결고리들이 생겨나기도 하고 자극이 없는 부분은 무뎌지기도 한다. 이렇듯 강아지들에게 특히 민감한 시기가 있다는 사실에 사람들은 놀라기도 한다. 강아지뿐만 아니라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는 이러한 민감한 시기가 있다. 새끼 고양이들이 사회성 발달에 가장 민감한 시기는 생후 2주에서 7주 사이다. 이 시기는 보통 새끼 고양이들이 반려인의 집에 가기 전이므로, 새끼 고양이를 어디서 데려오느냐가 아주 중요하다. 어린이들 또한 사회성 발달에 민감한 시기가 있는데, 이때 생활환경에 반응해 중요한 뇌 발달이 일어난다. 이러한 인생 초기의 경험은 앞으로의 발달에 중요한 발판이 되어 준다. 어떤 아이들이 유아기에 어른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스트레스를 거의 받니 않고 영양공급을 충분히 받아 건강한 뇌 구조를 형성했다고 하자. 이러한 어린이들은 학령기가 되었을 때 더 좋은 출발선에서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개들도 마찬가지다. 사회성 발달에 예민한 시기에 행복하고 긍정적 경험을 많이 하게 되면 계속해서 행복하고 다정하고 자신감 넘치는 개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나쁜 경험을 많이 하거나 좋은 경험을 거의 하지 못한 경우라면 겁이 많은 개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민감한 시기에는 강아지가 안전하다는 가정하에 다른 개를 많이 만나게 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개뿐만 아니라 남자든 여자든, 어린이든 낯선 어른이든 수염이 있든 모자를 썼든 가방을 맸든 지팡이를 짚고 다니든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을 접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강아지의 발달 단계는 태생기와 신생기, 이행기로 나눠진다. 태생기 강아지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후의 행동으로 연결되는 영향을 받는다. 어미 개가 임신했을 때 섭취한 음식을 통해 아나시드 향에 노출된 경우 이후 태어난 강아지 또한 그 향을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기는 생후 0~2주다. 이제 막 태어난 강아지들은 시력과 청력이 거의 발달하지 않았고 스스로 체온 조절도 할 수 없다. 어미 개는 새기를 먹이고 배설을 유도하기 위해 핥아 준다. 강아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어미 곁에서 다른 새끼들과 함께 자면서 보낸다. 이행기는 생후 2~3주 시기다. 이제 눈이 보이기 시작하고 청각도 발달한다. 이때 강아지들은 깜짝 잘 놀라곤 한다. 주변을 돌아다니기 시작하며 초기 운동 행동이 시작된다. 초기 사회적 행동이 시작되고 꼬리를 흔들 줄 안다. 

 

'우리집 귀염둥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학습  (0) 2022.09.24
반려견 입양시 유의점  (0) 2022.09.23
반려견 입양 전 환경의 중요성  (0) 2022.09.23
반려견의 행복 심리학  (0) 2022.09.20
회식중인 아빠 기다리는 준  (0) 2022.09.18

+ Recent posts